본문 바로가기
우수마발/컴도우미

윈도 XP 속도 높이기

by 옥주바 2009. 2. 11.
윈도우즈 XP 속도 높이고 인터페이스 고치기
 

시각 효과를 끄자

강의를 하다보면 ‘윈도우즈 XP가 느리다’는 불만의 소리를 자주 듣는다. 시스템 성능이 떨어져서가 아니다.
윈도우즈 XP 자체가 무겁다.
이유는 여러 가지이지만 윈도우즈 98보다 느린 가장 큰 원인은 시각효과다.
윈도우즈 XP를 화려하게 꾸미는 갖가지 시각효과는 처음에는 예쁘고 신기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지루해지기 쉽다.
게다가 리소스에 주는 부담이 커서 웬만큼 메모리가 많지 않으면 시스템이 많이 느려지게 된다.

 

 

 1단계. 시작 메뉴나 바탕화면에 있는 ‘내 컴퓨터’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눌러 ‘속성’을
           고른 뒤, ‘시스템  등록정보’  창의 ‘고급’ 탭에 있는 ‘성능’ 칸의 ‘설정’ 버튼을 누른다.
 

 

 

 2단계. ‘성능 옵션’ 창의 ‘시각효과’ 탭에서 ‘최적성능으로 조정’을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3단계. 시각효과를 끄면 인터페이스가 윈도우즈 98처럼 바뀌면서 메모리에 주는부담이 줄어든다
 

 

 

4단계. 테마를 없애려면 바탕화면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고 ‘속성’을 골라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창을 연 뒤, ‘테마’ 탭에서 테마를 ‘윈도우즈 고전’으로 한다.
 

 

 

5단계. 마지막으로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창의 ‘화면 배색’ 탭에서 ‘효과’ 버튼을 눌러 창을 연 뒤
          모든 옵션의 체크 표시를 없앤다.
 

 

디스크 조각 모음으로 속도 UP!
하드디스크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파일을 한데 모으는 ‘디스크 조각 모음’은 윈도우즈 98 뿐 아니라
윈도우즈 XP에서도 효과가 뛰어나다. 너무 식상한 테크닉이어서 새로울 게 없지만 그만큼 중요하므로
틈틈이 돌려줘야 한다. 윈도우즈 XP에 서비스 팩을 깐 뒤 속도가 뚝 떨었는데, 조각을 모은 뒤 한결
빨라졌다는 사람도 꽤 된다.

 

 

1단계. ‘내 컴퓨터’에서 청소할 드라이브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고 ‘속성’을 고른다.
 

 


2단계. ‘디스크 등록정보’ 창이 열리면 ‘도구’ 탭에서 ‘지금 조각 모음’ 버튼을 누른다.
 

 

 

3단계. ‘디스크 조각모음’ 창이 뜨면 ‘조각 모음’ 버튼을 눌러 흩어진 파일을 한데 모은다.
 

 

불필요한 서비스를 중지하면 빨라질 수 있다.

윈도우즈 XP는 시작하면서 함께 실행되는 몇 가지 항목이 있다. 그 중에는 반드시 작동해야만 하는 것이
있는 반면에 불필요한 것도 적지않다. 불필요한 서비스를 중지시키면 그만큼 시스템이 빨라진다.
반드시 실행해야 하는 것은 COM+ Event System, DHCP Client, Event Log, Plug and Play, Print Spooler, Remote Procedure Call, Removable Storage,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Driver Extensions, Workstation 이다.
이외의 서비스를 멈췄을 때는 시스템에 문제가 생길 확률이 낮지만 설령 그렇더라도 다시 띄우면 된다.

 

 

1단계. 제어판에 있는 여러 항목 중에서 ‘관리 도구’를 누르고 ‘서비스’를 고른다.
 

 

 

2단계. 서비스 항목이 나열되어 있는 서비스 창이 열린다.
 

 

 

3단계. 각 항목을 마우스로 두 번 누르면 자세한 내용이 뜬다. 필요 없는 서비스는 시작 유형을
           ‘사용안함’으로 고친다.
 

 

가상 메모리 값을 손보자

가상 메모리는 물리적 메모리의 부족한 공간을 하드디스크의 남는 공간으로 대신 메우는 기술이다.
가상 메모리 크기에 따라 시스템 성능은 달라진다. 물론 윈도우즈 XP가 그 크기를 알아서 잡지만 이용자가
직접 손을 보면 좀더 나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단계. 제어판에 있는 ‘시스템’을 골라 ‘시스템 등록정보’ 창을 연 뒤 ‘고급’ 탭에서 ‘성능’ 칸의
          ‘설정’ 버튼을 누른다.
 

 

 

2단계. ‘성능 옵션’ 창이 열리면 ‘고급’ 탭에 있는 ‘가상 메모리’의 ‘변경’ 버튼을 누른다.
 

 

 

3단계. ‘가상메모리’ 창의 ‘사용자 지정 크기’를 체크하고 ‘처음 크기’와 ‘최대 크기’에 같은
          값을 집어넣는다.
 


 

오류 보고 창 띄우지 않기

윈도우즈 XP는 작업 중에 에러가 생기면 오류 보고 창을 띄워 이 내용을 MS에 보고하겠느냐고 묻는창이
나오게 되는데 실제로 이것이 도움을 주지는 않는다.  괜히 시간만 빼앗길 뿐이므로 굳이 형식적인 이 창을
띄울 필요는 없다.

 

 

1단계. 제어판 → 시스템을 눌러 ‘시스템 등록정보’ 창을 연 뒤 ‘고급’ 탭에 있는 ‘오류보고’ 버튼을
           누른다.
 

 

 

2단계. ‘오류보고’ 창이 열리면 ‘오류 보고 사용 안 함’을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작업표시줄 딜레이 없애기

작업표시줄 위에는 ‘입력도구 모음’ 바가 있다. 한글이나 한자 등의 바뀐상황을 보여주고, 또한 마우스로 변환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인데 이것으로 인해서 컴퓨터 부팅시 잠시 멈취는 현상이나 작업하는 도중에 종종
딜레이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1단계. 작업표시줄 위에 있는 ‘입력도구 모음’ 바 때문에 작업표시줄이 가끔씩 먹통이 된다.
 

 

 

2단계. 제어판 → 국가 및 언어옵션 → 언어 → 자세히 버튼을 누른다.
 

 

 

3단계. ‘입력도구 모음’ 버튼을 누르고 ‘바탕 화면에 입력 도구 모음 표시’의 체크 표시를 없앤다.
           만약 이 버튼을 누를 수 없으면 ‘추가’ 버튼을 눌러 아무 항목이나 새로 등록한다.
 

 

‘시스템 복원’ 쓰지 않기

시스템 내부 파일이 바꿔 문제가 생기는 것을 대비해 그 전의 깨끗한 상태를 백업해놓았다가 사고나 났을 때
되돌려놓는 ‘시스템 복원’은 편리하지만 시스템 자원을 많이 차지한다. 하드디스크의 여유 공간이 없을 때는
쓰지 않는 게 좋다. 그러면 300~400MB을 덤으로 얻는다.
시스템 복원을 쓰지 않으려면 제어판 → 관리도구 → 시스템을 고르고 ‘시스템 복원’ 탭을 누른다. 드라이브가
두 개 이상이면 ‘모든 드라이브에서 시스템 복원 사용 안 함’으로 표시되고 하나면 ‘시스템 복원 사용 안 함’
으로  표시되는 메뉴를 체크하면 된다.

 

 

‘시스템 복원’ 기능을 쓰지 않으면 시스템 자원을 아낄 수 있다.
 

 

업데이트는 내가 한다!

윈도우즈 XP는 스스로 웹 사이트에 접속해서 업그레이드 파일을 내려받는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쓴다.
하지만 어느 정도의 시스템 자원을 차지하므로 마냥 유익하다고 할 수 없다. 이용자가 틈틈이 업데이트
사이트에 들러 직접 내려받는 것이 조금 귀찮더라도 훨씬 더 경제적이다. 자동 업데이트를 수동으로
바꾸려면 제어판 → 시스템 → 자동 업데이트 탭에서 ‘컴퓨터를 업데이트 상태로 유지합니다…’의 체크
표시를 없앤다.

 

 

‘컴퓨터를 업데이트 상태로 유지합니다…’의 체크 표시를 없애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끄면
 시스템 자원이 절약된다.
 

 

제어판의 몸무게를 줄이자

윈도우즈 XP의 제어판은 화려하다. 창 자체도 멋스럽지만 아이콘이 3D여서 무척 세련되어 보인다.
하지만 메모리에 주는 부담이 크다. 게다가 아이콘이 그룹별로 묶여 있어서 처음에는 뭐가 뭔지 헛갈린다.
제어판 인터페이스를 윈도우즈 98처럼 바꾸면 낯설지도 않고 메모리에 주는 부담도 적다.

 

 

1단계. 윈도우즈 XP의 제어판은 몇 가지 아이콘이 그룹으로 묶여 있다. 윈도우즈 98처럼
          돌아가려면 제어판의 왼쪽에 있는 ‘클래식 보기로 전환’을 누른다.
 

 

 

2단계. 왼쪽 ‘제어판’ 칸이 ‘종류별 보기로 전환’으로 바뀌었다. 다시 종류별 보기로 전환을 누르면
          예전 클레식보기 보습으로 돌아간다.
 

 
                                                                                                                          출처-다음 김성철님 블로그

'우수마발 > 컴도우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XP 팁   (0) 2009.02.11
Windows XP 단축키 모음   (0) 2009.02.11
XP에서 한영키가 안먹힐 때  (0) 2009.02.11
바이오스 에러시 비프음  (0) 2009.02.11
윈도XP의 자동종료문제 해결(윈도2000)  (0) 2009.02.11